개발 속도를 수십배 빠르게해준 기술
개발 속도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나는 초기 1년차 주니어 였을때보다 아마 20배 이상은 빠르게 개발할 것이다.
연차가 쌓이면서, 개발속도가 점점빨라졌는데, 특정 기술을 도입하고 순식간에 빨라졌던 경험들이 존재하며, 사람들과 공유하고싶다.

#1. React
10년 전쯤에는 리액트가 그렇게 유명한 서비스가 아니었다.
JavaScript와 HTML로 상태 관리를 하던 시절, 나는 상태 관리의 혼돈 속에서 지쳐갔다.
이벤트 핸들러가 난무하고, DOM 조작이 복잡해질수록 유지보수가 지옥처럼 느껴졌다.
처음부터 React를 썼던 사람은 이게 얼마나 복받은 경험인지 모를 것이다.
컴포넌트 기반 개발, 선언적 UI, 그리고 가상 DOM이 가져온 변화는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렸다.
#2. TypeScript
TypeScript를 만나고 유지보수가 3배는 빨라졌다.
TypeScript가 없던 시절, 레거시 코드를 수정하려고 들어가면 코드를 직접 실행해보기 전까지 모든 것이 불확실했다.
함수의 인자가 무엇인지, 반환값이 어떤 타입인지 코드만 봐서는 알 수 없었다.
자칫 잘못하면 사소한 실수 하나가 예상치 못한 버그로 이어졌다.
하지만 TypeScript를 도입한 후, 코드 수정 시 에디터가 먼저 문제를 잡아주고,
자동 완성을 통해 기억하지 못하는 것까지 보완해 줬다.
그 덕분에 안심하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었다.
#3. GraphQL
GraphQL이 등장하면서 REST API의 불편함이 극적으로 해소되었다.
기존 REST 방식에서는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수많은 API 엔드포인트를 호출해야 했다.
필요한 데이터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받아오거나, 필요한 데이터가 여러 요청에 분산되는 문제도 있었다.
하지만 GraphQL을 사용하면서 한 번의 요청으로 원하는 데이터만 깔끔하게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API 개발 속도와 유지보수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프론트엔드 개발 속도가 체감될 정도로 빨라졌다.
#4. MongoDB
MongoDB는 한없이 자유롭다.
그렇기에 무한히 변화에도 유연하다.
스키마를 강제하지 않으므로, 데이터 구조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기존 테이블을 마이그레이션할 필요 없이 바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자유로움 덕분에 방향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개발 속도를 가속화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5. ChatGPT를 사용하며 다시 2배 빨라졌다
개발 속도 향상의 마지막 한 방은 ChatGPT였다.
이전에는 문서를 찾아보고, Stack Overflow를 뒤지고, 블로그를 검색하며 시간을 허비했다.
하지만 ChatGPT를 사용하면서 문제 해결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졌다.
• 에러 메시지를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해도 해결책이 나온다.
• 코드 리팩토링을 즉시 제안받을 수 있다.
• 생각을 정리하고, 로직을 다듬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물론 100% 정답을 주지는 않지만, 답을 찾는 과정이 압도적으로 단축되었다.
#6. 완성된 프로젝트들이 모듈 자체가 되다
개발이 반복되면서 과거에 만든 프로젝트들이 새로운 프로젝트의 모듈이 되어 갔다.
초기에는 모든 기능을 처음부터 다시 개발해야 했지만,
이제는 기존에 만든 코드와 시스템을 재사용하면서 개발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로그인, 결제, CRUD 등 자주 쓰이는 기능이 이미 완성된 상태, 이전 프로젝트에서 검증된 코드라서 안정성도 높다.
과거에 시간이 몇일 걸렸던 작업이 이제는 몇 시간 만에 끝나는 경우도 많아졌다.
#7. 잘 만든 SaaS는 마치 모듈처럼 개발속도를 빠르게한다.
좋은 SaaS 도구를 활용하면 내가 직접 개발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이 많아진다.
외부 SASS를 적극 활용하라는 말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자사의 SASS를 특히 말하는것이다.
우리회사는
예약 판매서비스 정글부킹
웹빌더 서비스 정글웹을 운영중인데
정글부킹에는 예약에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이 이미 들어가있고,
정글웹에는 웹사이트 운영에 필요한 CRM, 디자인템플릿 등이 이미 내장되어있다.
#8. 모듈이 쌓이며 가속화되었다
초반에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직접 만들어야 할 것들이 많아서 느렸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쌓인 모듈, 경험, 도구들이 개발 속도를 폭발적으로 가속화시켰다.
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90% 이상의 코드가 이미 완성된 상태
이제는 개발을 할 때 “어떻게 만들까?“보다 “어떤 조합으로 빠르게 완성할까?“를 고민하는 단계에 왔다.
#9. Tailwind css
Css는 많은 방법론이 존재하는데,
왼만한건 다 시도 해보았다 그중 으뜸은 tailwind css였다.
클라이언트를 넘어 파트너까지 Cubrix
